●조혈모세포 기증은 혈액암, 재생불량성빈혈, 면역결핍질환 등 혈액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들에게 새 생명을 선물하는 숭고한 행위입니다. 하지만 많은 사람들이 조혈모세포 기증에 대해 오해하거나 부담을 느껴 참여를 망설이는 경우가 많습니다.
● 이번 글에서는 조혈모세포 기증의 의미, 절차, 기증자의 주의할 점과 지원제도 등을 알아보고, 기증을 고민하는 분들에게 용기를 드리고자 합니다.♥
1. 조혈모세포 기증이란?
● 조혈모세포(Hematopoietic Stem Cells, HSCs)는 혈액을 구성하는 모든 세포(적혈구, 백혈구, 혈소판 등)의 근원이 되는 줄기세포로, 이를 기증받은 환자는 조혈 기능을 회복하고 건강한 혈액을 다시 생성할 수 있습니다.
● 특히, 급성 백혈병, 만성 백혈병, 재생불량성빈혈, 중증 면역결핍증 등의 치료를 위해 타인의 건강한 조혈모세포 이식이 필수적입니다. 하지만 환자와 HLA(조직적합성항원)가 일치하는 기증자를 찾기가 어렵기 때문에 많은 환자들이 기증을 기다리고 있습니다.
💡 조혈모세포 기증은 혈액이나 장기 기증과 달리, 기증 후 신체에 미치는 장기적인 영향이 거의 없으며, 조혈모세포는 다시 생성됩니다.
2. 조혈모세포 기증 방법
조혈모세포 기증은 골수 기증과 말초혈 조혈모세포 기증(PBSC 기증) 두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.
1) 말초혈 조혈모세포 기증 (Peripheral Blood Stem Cell Donation, PBSC)
📌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방법이며, 성분헌혈과 비슷한 방식으로 진행됩니다.
✅ 기증 절차:
기증 전 HLA 적합성 검사를 통해 환자와 조직이 일치하는지 확인.
기증 4~5일 전부터 **G-CSF(조혈모세포 동원제)**를 피하주사로 투여하여 조혈모세포를 골수에서 말초혈로 이동.
성분헌혈과 유사한 방식으로 혈액을 채취하여 조혈모세포를 분리하고, 나머지 혈액은 기증자의 몸으로 다시 돌려보냄.
채집 시간은 보통 3~5시간 정도 소요되며, 경우에 따라 1~2일 연속으로 진행될 수 있음.
✅ 장점:
전신마취가 필요 없고 비교적 간편한 방법.
회복이 빠르고, 기증자가 병원에 머무는 시간이 짧음.
대부분의 기증자가 선택하는 방식.
❗ 주의할 점:
G-CSF 주사로 인해 일시적인 근육통, 미열, 피로감 등이 발생할 수 있음.
일부 기증자는 채집 후 어지러움, 피곤함 등을 느낄 수 있으나, 대개 수일 내에 회복됨.
2) 골수 기증 (Bone Marrow Donation)
📌 골수 기증은 전신마취 또는 척추마취를 시행한 후 골반뼈(장골)에서 조혈모세포를 직접 흡입하는 방식입니다.
✅ 기증 절차:
기증 전 검사 및 건강 상태 확인.
수술실에서 전신마취 또는 척추마취 후 골반뼈에서 골수를 채취(약 500~1500mL).
기증 후 1~2일 정도 병원에서 회복 후 퇴원 가능.
골수는 수 주 내에 자연적으로 다시 생성됨.
✅ 장점:
말초혈 기증보다 채취된 조혈모세포 농도가 높아, 일부 환자(소아 환자, 재생불량성빈혈 환자)에게 더 적합할 수 있음.
❗ 주의할 점:
전신마취가 필요하므로 마취 부작용(오심, 어지러움)이 발생할 수 있음.
기증 후 1~2주간 골반 통증, 피로감이 있을 수 있지만 대부분 자연 회복됨.
3. 조혈모세포 기증 후 관리 및 회복
✅ 회복 과정
말초혈 기증(PBSC)은 대부분 1~2일 내로 회복되며, 충분한 휴식과 수분 섭취가 중요합니다.
골수 기증의 경우 1~2주 정도 피로감과 허리 통증이 지속될 수 있지만, 이는 시간이 지나면서 점차 완화됩니다.
✅ 기증 후 생활 수칙
기증 직후 충분한 수분 섭취와 균형 잡힌 식사를 유지해야 함.
골수 기증 후에는 무리한 운동을 피하고 충분한 휴식을 취하는 것이 중요.
일상 복귀는 보통 2~3일 내 가능하나, 개인차가 있을 수 있음.
4. 조혈모세포 기증의 의미 & 격려의 말
🌟 조혈모세포 기증은 생명을 구하는 가장 가치 있는 나눔입니다.
환자의 가족들에게 기증자는 ‘희망’ 그 자체입니다.
환자와 공여자가 만나지 않더라도, 당신의 기증은 누군가에게 삶을 선물하는 기적을 만듭니다.
조혈모세포는 다시 생성되므로 기증 후에도 건강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.
기증 한 번으로 환자의 생명을 연장하거나 완치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.
💬 조혈모세포 기증을 망설이는 분들에게
기증 절차는 안전하게 진행되며, 대부분의 기증자는 수일 내에 정상적인 생활로 복귀합니다.
내가 기증하지 않으면, 환자는 HLA가 맞는 공여자를 찾지 못하고 치료 기회를 잃을 수 있습니다.
기증 후 건강을 해친 사례는 거의 없으며, 적절한 관리만 하면 문제없이 회복됩니다.
5. 조혈모세포 기증을 위한 등록 방법
현재 대한민국에서는 **한국조혈모세포은행협회(KMDP)**를 통해 기증 등록이 가능합니다.
✅ 기증 등록 절차:
1.조혈모세포 기증 희망 등록 (온라인 또는 오프라인 가능)
2.간단한 혈액 검사(HLA 검사) 후 기증자 데이터베이스 등록
3.HLA가 일치하는 환자가 나타나면 연락을 받아 기증 결정
4.기증 방법을 선택하고, 정밀 건강 검진 후 기증 진행
기증을 원할 경우, 가까운 헌혈의 집에서 등록 가능하며, KMDP 홈페이지에서 자세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.
* 참고 사이트
한국조혈모세포은행협회 | 새 생명의 기쁨을 나누는 사람들
HEMOPOITIC STEM CELL조혈모세포란? 조혈모세포란 혈액을 만드는 어머니 세포라는 뜻으로 적혈구, 백혈구, 혈소판 등 모든 혈액세포를 만드는 능력을 지녔으며, 골수 속에 약 1% 가량 존재합니다. 조혈
kmdp.or.kr
● https://www.chscb.org/kr/ : 가톨릭조혈모세포은행
● https://youtu.be/v65D92uK8HI?si=d4B1yqM_RppAyPNL
'hematology' 카테고리의 다른 글
🧬 조혈모세포이식(HSCT) 후 합병증, 반드시 알아야 할 6가지 (0) | 2025.02.28 |
---|---|
🧬 조혈모세포이식 전처치, 왜 중요한가요? (0) | 2025.02.28 |
조혈모세포이식(HSCT)의 종류 (0) | 2025.02.27 |
조혈모세포이식(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, HSCT) (0) | 2025.02.27 |
🩸 용혈성 빈혈 (Hemolytic Anemia) (0) | 2025.02.21 |